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HPV 바이러스가 뭐지? HPV예방접종 알아보기

by CUMOM 2024. 4. 8.
반응형

HPV 예방접종
HPV 사람유두종바이러스

HPV (사람유두종바이러스)란?

HPV는 사람유두종바이러스 (Human Papillomavirus)의 줄임말로, 성병으로 알려진 감염성 바이러스입니다.

HPV는 주로 피부나 점막을 감염시키며, 주로 성 접촉을 통해 전파됩니다.

이 바이러스는 피부의 다양한 부위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전염성이 높은 병원체입니다.

HPV의 감염은 흔한 감염질환으로 성생활을 시작한 여성의 4명 중 2~3명은 평생 적어도 한 번 이상은 HPV에 감염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감염은 증상을 보이지 않거나 경미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그러나 몇 가지 HPV 바이러스는 생식기와 함께 성기 부위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대부분 12~24개월 내에 자연 소멸되지만 3~10%는 지속감염을 일으키고 수년에서 수십 년 후 자궁경부암 및 다양한 기타 암 발생 위험요소가 됩니다. 

 

HPV 바이러스
HPV 바이러스로 생기는 병

HPV로 인해 생기는 병

1. 생식기 사마귀 : 일부 HPV 서브타입은 생식기 부위에 사마귀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자궁경부암 : HPV 감염은 자궁경부 세포의 이상적인 변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것이 지속되면 자궁경부암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자궁경부암은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HPV 감염은 대부분의 자궁경부암 사례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3. 항문암 및 기타 생식기 암 : 일부 HPV 서브타입은 항문, 질, 외부 성기 부위 등 다른 생식기 부위에서도 암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4. 구강암 : HPV는 구강 내부에도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구강암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

5. 기타 피부 병변 : HPV 감염은 다양한 피부 병변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피부 상에 발생하는 사마귀와 같은 형태를 띱니다.

 

HPV 에방접종
HPV 에방접종

HPV 예방을 하려면?

HPV를 예방하려면 예방접종과 함께 정기적인 건강검진이 필요합니다.

HPV 백신은  HPV 감염과 그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아주 효과적입니다.

자궁경부암의 70%를 일으키는 고위험 유전형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HPV 백신을 접종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HPV 예방접종사업을 일찍이 도입한 호주, 덴마크, 미국, 프랑스 등의 국가에서는 이미 자궁경부 상피 내 종양, 생식기 사마귀 등 HPV 관련이 감소하는 효과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HPV 백신을 권장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HPV 예방접종 지원 사업을 하고 있습니다.

국가에서 HPV 예방접종 무료지원 백신으로는 가다실(4가)과 서바릭스(2가)를 지원합니다. 

HPV 예방접종사업이란?

국가에서는 HPV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예방접종 지원 관련 내용입니다.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대상 : 12~17세 여자 청소년, 18~26세 저소득층 여성

지원백신 : HPV 2가 (서바릭스), HPV 4가 (가다실)

예방접종 실시기준 : 첫 접종 나이에 따라 접종 횟수가 상이 

접종기관 : 보건소 및 지정의료기관

첫 접종 나이 백신 종류 접종 횟수 접종 차수 접종 간격
12~14세 HPV2, HPV4 2회 1차 6~12개월
2차  
15세~25세 HPV2 3회 1차 1개월
2차 5개월
3차  
15세~26세 HPV4 3회 1차 2개월
2차 4개월
3차  

 

*HPV백신 왜 청소년 시기에 접종을 하는 걸까?

HPV 백신은 성 경험 전에 접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경험 전에 접종을 완료할 경우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등 전암병변에 70~90%의 높은 예방 효과를 보입니다.

 

HPV 에방접종
HPV 에방접종 전 체크사항

접종 전 체크사항

1. 지정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의 예방접종은 비용 지원은 받을 수 없습니다.

그러니 반드시 지정의료기관을 알아 본 후 방문합니다.

2. 검진 전 예방접종예진표를 작성합니다.

-예방접종예진표는 사전에 모바일 등으로 미리 작성하시는 것이 편리합니다.

- 12세 대상자 여성청소년의 경우 '표준 여성 청소년 건강상담 점검표'도 함께 작성합니다.

3. 미성년자의 경우 예방접종 시 보호자 동행이 원칙입니다.

- 부득이하게 보호자가 동행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예방접종 시행동의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

- 에방접종 시행동의서는 서식은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에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지금까지 HPV 와 예방접종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여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반드시 체크하시고 미리미리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